본문 바로가기
기타 정신질환

PTSD 뜻, "PTSD온다"는 말은 어떤 상황에 쓰일까?

by 금쪽같은나 2023. 6. 17.
반응형

PTSD 뜻
PTSD 뜻과 'PTSD온다'의 예시

 PTSD는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준말입니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표현하는데요. 일상에서 과거에 경험했던 부정적인 일을 마주하게 되면 'PTSD가 온다'는 식으로 많이 사용하곤 합니다. 그렇다면 실제 PTSD의 뜻을 알아보고 어떤 상황에 쓰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PTSD 뜻

 위에 서술했듯이 PTSD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의미합니다. 사람은 강렬한 고통을 겪으면 정신적으로도 상처를 받는데요.

 전쟁이나 고문, 끔찍한 자연재해나 사고, 테러나 성폭력을 경험하게 되면 정신적 공포를 느끼게 되고 사건이 지나간 후에도 계속적인 재경험을 통해서 고통을 반복적으로 체험하게 되죠.

이런 고통을 벗어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신체적, 감정적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에너지 소모를 통해서 심리적 문제를 동반하게 됩니다. 불안과 우울, 공황장애가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PTSD온다"는 말은 어떨 때 쓰지?

 일반적으로 10~30대에서 많이 쓰는 말인데요. 과거에 안 좋은 경험이 있었던 일을 떠올리게 되면 사용하곤 합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드릴게요.

  • 전역 후 오랜만에 군대 기상 나팔소리를 듣게 되는 상황 → 군대 시절을 떠올리게 하므로 'PTSD온다'고 표현
  • 집에서 육아를 마치고 외출했는데 아기 울음소리를 듣게 된 상황 → 집에서 육아했던 고생을 떠올리게 하므로 'PTSD온다'고 표현
  • 농구 시합에서 큰 점수차로 패배한 적이 있는데, 지금 경기도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을 때 → 과거 대패한 경험을 떠올리게 하므로 'PTSD온다'고 표현

 원래 PTSD 의미보다 가벼운 상황에서 사용한 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사실은 PTSD라는 것은 정신적으로 견디기 힘든 고통이어야 하는데, '고통'이 아닌 '고생' 정도를 표현하는 말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확실히 PTSD 환자들이 듣기에 기분 좋은 표현은 아니겠죠. 저는 트라우마 정도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트라우마는 PTSD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3. PTSD 대신에 '트라우마'라고 하라고?

  트라우마는 상처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 됐습니다.

 요즘은 PTSD와 트라우마를 거의 같은 용어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요.

 가장 큰 차이는 '사건의 심각성'에 있습니다.

 위에서 썼듯이 PTSD는 전쟁, 테러, 성폭력 등 한 사람의 인생에 치명적인 상처를 남기는 경험을 통해서 발생하게 되는데요. 트라우마도 물론 이러한 심각한 문제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사소한 사건으로 일어나기도 합니다. 가령, 어린 시절 경험했던 부끄러운 기억들이나 개인적으로 자존감이 떨어졌던 상황들도 트라우마의 범주에 들어가는데요. 이를 small trauma라고 하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학창 시절 수업시간에 발표를 하다가 실수를 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도 있지만, 굉장히 부끄러웠던 트라우마로 남기도 하는데요.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말하는 상황이 되면 이러한 트라우마 때문에 말하기 불안이 생기게 되죠. 이렇게 트라우마는 범주가 훨씬 넓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소하다고 생각되는 감정들도 한 개인에게 매우 오랫동안 기억되는 트라우마로 남기도 하니까요.

 그래서 'PTSD온다'라는 표현보다 '트라우마가 떠오른다'가 상황에 더 적합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TV에 정신건강과 관련된 여러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사람들이 정신의학과 용어들을 많이 알고 일상에서도 사용하고 있는데요. 사실 해당 정신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들으면 기분 나쁠 수 있는 상황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성인 ADHD 진단을 받았는데요. 종종 산만하게 구는 사람에게 'ADHD 있나?'라고 이야기하는 것을 듣게 되면 조금 기분이 상하기도 합니다. ADHD가 너무 가볍게 쓰이는 것 같아서요. 일상에서부터 조금씩 정돈된 언어를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