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격장애15 경계선 성격장애 1편(정의, 자가진단 테스트, 특징) 살면서 종종 극단적으로 상대에게 집착하는 사람들을 보곤 합니다. 보통 데이트폭력이나 스토킹이라는 범죄적 결말로 끝을 맺게 되는데요. 이런 사람들은 대체 어떤 심리로 이렇게 사람에게 집착할까요? 경계선 성격장애란 무엇이고, 어떻게 진단될 수 있는지 한 번 테스트해보세요. 또, 어떤 특징 있을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1. 경계선 성격장애란? 경계선 성격장애는 극단적인 감정이 교차하고, 불안정한 대인관계를 맺는 성격장애를 말합니다. 보통은 특정 사람에 대해서 강렬한 집착을 보이게 되는데요. 상황에 따라 애정과 분노, 실망감과 같은 감정이 오락가락하기 때문에 상대에게 과도한 부담감을 줍니다. 또한, 충동성도 심하여 자신의 감정이 거절되었을 때 이를 참지 못하고 상대에게 보복하거나, 자해하는 행동을 보입니다. 혹시.. 2023. 6. 14. 연극성 성격장애? 자가진단 테스트와 사례, 원인을 알아보자! 성격장애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대체로 상습적인 거짓말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연극성 성격장애는 과장에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죠. 자기애성 성격장애도 이와 비슷하지만, 연극성 성격장애가 훨씬 감정 표현이 풍부하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연극성 성격장애는 무엇이고, 또 어떻게 진단될 수 있을까요? 1. 연극성 성격장애란? 히스테리성 성격장애라고도 불렸으나, '히스테리'라는 용어 사용의 문제를 들어 연극성 성격장애라고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보통 연극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타인의 애정과 관심을 끌기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고 극단적인 감정표현을 합니다. 대인관계에서 항상 자신이 주인공이고 주목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말을 전혀 경청하지 못하는 것은 물.. 2023. 6. 13. 공상허언증과 리플리 증후군, 허언증과는 어떤 점에서 다를까? 일상에서 허언증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자신을 부풀리기 위해 거짓을 말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하죠. 그런데 허언증이라는 단어는 정식 질병은 아니고, 인터넷에서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정식 질환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정신과에서 DSM-5 기준으로 진단이 가능해야 하죠. 그렇다면 정신과에서 진단이 가능한 공상허언증은 허언증과 뭐가 다를까요? 1. 공상허언증과 허언증의 차이점 공상허언증은 스스로 거짓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허언증의 경우는 자신이 지금 하는 말이 거짓이라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의 관심이나 주목을 받기 위해서 허풍을 떠는 것이죠. 그러나 공상허언증 환자들은 자신의 말이 거짓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실제 머릿속에서 사실로 믿어버리는 것이죠. 공상허언증.. 2023. 6. 12. 자기애성 성격장애, 나르시시스트 테스트 한 번 해볼까요? 원인과 치료까지 보통 자기 자신을 사랑하라고 말하죠. 당연한 것이고 건강한 일이죠. 그런데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자기 자신을 과도하게 사랑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란 무엇일까요? 1.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뜻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영어로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혹은 이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을 나르시시스트라고 부릅니다. 단순히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을 벗어나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로 인해 특권의식을 지니고 타인에게 착취적인 행동을 하거나 오만한 사람을 말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사회적인 부적응을 초래하게 됩니다. 2. 나르시시스트의 유래 나르시시즘이라는 용어는 연못에 비친 자신의 얼굴과 사랑에 빠져 연못 속으로 빠져 죽은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Narcissus에서 .. 2023. 6. 11.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