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장애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대체로 상습적인 거짓말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연극성 성격장애는 과장에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죠. 자기애성 성격장애도 이와 비슷하지만, 연극성 성격장애가 훨씬 감정 표현이 풍부하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연극성 성격장애는 무엇이고, 또 어떻게 진단될 수 있을까요?
1. 연극성 성격장애란?
히스테리성 성격장애라고도 불렸으나, '히스테리'라는 용어 사용의 문제를 들어 연극성 성격장애라고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보통 연극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타인의 애정과 관심을 끌기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고 극단적인 감정표현을 합니다.
대인관계에서 항상 자신이 주인공이고 주목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말을 전혀 경청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자신의 경험을 극적으로 과장해서 표현합니다. 그러한 과정에서 이를 지적받거나, 자신보다 더 주목받은 사람이 있으면 급격히 우울해지고, 분노에 가득 차는 감정을 표현합니다. 따라서 대인관계의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 비슷한 경험이 있다면 아래의 연극성 성격장애 테스트를 해보세요.
2. 연극성 성격장애 자가진단 테스트
DSM-5의 진단기준을 가져왔습니다. 아래 항목 중 몇 개나 해당되는지 세어보세요.
- 내가 관심의 중심이 되지 않는 상황이 불편하다.
- 이성들에게 성적으로 유혹하는 행동이나 말을 많이한다.
- 감정의 기복이 크고 하나의 감정이 오래가지 않는다.
- 이성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끊임없이 신체적인 매력과 외모를 활용한다.
- 과장하여 극적인 상황을 표현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없는 대화를 나눈다.
- 스스로 연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감정을 과장되게 표현한다.
-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나 말에 영향을 많이 받고 귀가 얇다.
-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실제보다 더 친밀하게 생각한다.
위의 8가지 항목 중 5개 이상을 충족하면 연극성 성격장애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
만약 자신이 미성년자라면 설령 8개 항목 모두에 해당되더라도 아직 연극성 성격장애인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사춘기 학생들의 일반적 성향과도 부합하는 면이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성인이 된 이후에 위 항목 5개 이상이라면 연극성 성격장애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극성 성격장애를 자가진단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오직 전문가들이 깊이 있게 상담한 후 진단할 수 있으니 이점 유의하시고 자가진단은 재미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혹시 주변에 이런 사람이 있나요? 한 번 비슷한지 사례를 보시죠.
3. 연극성 성격장애 사례
여대생 A씨는 어딜 가나 자신이 모임의 꽃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화려한 옷차림을 고수하고, 일부러 남학생들이 많이 듣는 수업을 수강합니다. 같은 과 남학생들은 물론 동아리에서도 다른 학생들에게 먼저 다가가 살갑게 말을 걸기도 합니다. 별로 친하지도 않은데 말이죠. 하지만 A씨는 자신보다 더 매력적인 여학생이 있는 자리는 가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이 자신보다 더 주목받는 상황을 참지 못하기 때문이죠. 몇몇 남학생들은 실제로 A씨에게 호감을 표하기도 합니다. A씨는 술을 마시고 그런 남학생들과 거리낌없이 어울리면서 끊임없이 성적인 사인들을 주고 받습니다. 실제로 A에게 성적 유혹은 받았다고 생각하는 남학생들이 무척 많습니다. 학교에 그러한 소문이 퍼지면서 A씨는 따돌림을 받게 되었습니다. A씨는 고등학교 때도 비슷한 상황을 겪었습니다.
4. 연극성 성격장애 원인
연극성 성격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타인으로부터 관심을 끌고 끊임없이 애정을 갈구하는 강렬한 욕구가 있습니다. 이는 인정욕구와 관련이 있는 것이죠. 어린 시절에 가족으로부터의 무관심이나 방임 및 학대를 당한 경험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정으로부터 충분히 충족되지 못했던 애정의 결핍도 원인 중 하나입니다. 가족으로부터 인정과 사랑을 받지 못한 불안정한 애착이, 미숙한 자존감을 만들고 타인에게 의존적으로 사랑을 갈구하게 하는 것이죠.
일란성쌍둥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바탕으로 보면 환경적 요인보다 유전적 요인이 더 크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5. 주변에 연극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이 있다면
연극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특유의 과장된 감정표현과 성적인 어필로 인해 매력적인 존재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관계가 지속되면 끊임없이 애정과 인정을 갈구합니다. 이런 부분이 연인이나 배우자를 지치게 하죠. 또한 연극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매력이 사라지는 것과 상대의 거절에 극심한 두려움과 공포를 느낍니다. 그래서 자신의 요구가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다른 사람들을 조종하는 것에 노력을 기울입니다. 이를테면 가스라이팅 같은 것들이죠.
그러니 가급적 관계를 오래 가져가지 마세요.
'성격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집성 성격장애란?(자가진단 테스트, 특징, 사례) (0) | 2023.06.16 |
---|---|
경계선 성격장애 1편(정의, 자가진단 테스트, 특징) (0) | 2023.06.14 |
공상허언증과 리플리 증후군, 허언증과는 어떤 점에서 다를까? (0) | 2023.06.12 |
자기애성 성격장애, 나르시시스트 테스트 한 번 해볼까요? 원인과 치료까지 (0) | 2023.06.11 |
소시오패스 뜻, 사이코패스와는 무엇이 다를까요?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