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DHD

ADHD 치료병원을 선택할 때 유의할 점 3가지

by 금쪽같은나 2024. 6. 17.
반응형

 저는 성인 ADHD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스스로를 ADHD라고 생각하지는 않았어요. 그런데 대학원에서 정신 병리 문제에 대해 배우다 보니 ADHD 증상들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되었고, '어 이거 딱 난데?'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어디서 치료 받으면 좋을지 대학원 교수님들께 자문을 좀 구했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ADHD 치료병원을 선택할 때 유의할 점 3가지를 소개드리겠습니다.


1. 풀배터리 검사가 가능한 지, 검사는 누가 하는지

 정신건강 의학과에서는 풀배터리 검사를 대부분 실시하고 있긴 합니다.

 

 풀배터리 검사 = 종합심리검사(지능검사부터 정서적인 부분까지 종합적으로 보는 검사입니다.)

 

 그런데 풀배터리 검사는 꼭 의사가 아니어도 할 수 있어요.(임상심리사나 상담 자격증이 있는 분들도 검사할 수 있음.)

 

 그냥 객관식 번호 체크하는 검사는 컴퓨터가 점수화하니까 괜찮은데 문제는 로샤 검사(그림 보고 생각나는 장면이나 단어, 정서 표현을 측정하는 검사) 같은 경우 검사자의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죠. 따라서, 실력 있는 검사자가 있는지를 확인해야 해요.

ADHD 치료병원

 

 개인적으로는 저도 상담심리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지만,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증을 가진 분이 검사하는 것이 가장 전문적이라 생각합니다.(주관적 의견이지만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거의 박사 급 요건을 충족해야 가능하기에 전문적이라고 생각합니다.)

 

 ADHD 얘기하다가 왜 갑자기 종합심리검사를 얘기하냐고요? 사실 집중력 저하는 우울증이나 불안증과 같은 정서적 문제로 발생하기도 하거든요.

 

 한 마디로 ADHD가 아니고 다른 정신질환일 수 있는 거죠. 따라서, 풀배터리 검사는 꼭 고려해 보세요.


2. CAT, TAT 검사를 할 수 있는지 물어보세요.

 CAT, TAT 검사를 하지 않아도 ADHD인지 판별해 주는 병원들도 있긴 합니다.

 

 그런 경우 자기 척도를 체크하는 항목지로 ADHD를 검사하죠. 하지만 위에 기술했 듯이 우울증이 심하면 무기력이 생기고, 무기력이 생겨서 집중력도 떨어지는 경우가 매우 흔하거든요. 그래서 평소 '나는 집중력이 떨어져 있다'는 문항에 반복 체크하면 ADHD가 아니라도 ADHD로 진단되는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ADHD 치료병원

 

 따라서 CAT, TAT 뇌파 검사 등을 동원하는 것이 ADHD 판별에 더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CAT 검사와 ADHD 진단까지 과정은 예전 제 포스팅 링크에 상세히 적어 놓았으니 참고하시고요.

2023.06.03 - [ADHD] - ADHD 테스트(CAT 검사 후기)

 

ADHD 테스트(CAT 검사 후기)

저는 성인 ADHD 진단을 받고 이제 4개월 차에 접어들었습니다. 콘서타라는 약을 먹고 있고요. 콘서타는 도파민이라는 신경 전달물질을 활성화하여 제 뇌가 집중하기 좋은 환경으로 만들어줍니다.

1.s2chool.com


3. 가장 중요한 것은 선생님과의 케미입니다.

 정신건강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상담자(의사)와 내담자(환자) 간의 신뢰관계입니다.

 

 보통 환자들은 자기 증상들을 다른 사람 앞에서 꺼내 놓기를 주저하죠. 상대가 의사라도 말이에요. 따라서 편하게 이야기를 모두 풀어낼 수 있는 신뢰 관계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담당 의사 선생님과의 케미가 중요합니다.

 

 병원 방문 전에 케미를 어떻게 확인하냐고요? 맞아요, 우선 첫 방문을 하셔야겠죠.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첫 방문에서 의사 선생님께 느끼는 감정이 긍정적이라면 그건 케미가 잘 맞는 겁니다.

ADHD 치료병원

 

 저는 성격이 소위 T라고 하죠. 이성적이고 현실적인 부분이 많아서, 처음 병원에 방문했을 때 담당 의사 선생님께서 구체적인 검사 과정과 해결 방안을 전공 서적을 꺼내 보여주시는 부분에 신뢰를 느꼈고 그 뒤로는 편하게 제 이야기를 꺼냅니다.

 

 그런데 저의 추천으로 병원에 방문하신 지인은 선생님이 너무 이성적으로만 얘기하셔서 공감받지 못하는 느낌을 받았다고 불평하는 부분이 있더라고요.

 

 따라서, 첫 방문에 의사 선생님과 케미가 어떤 지 체크하시는 것이 매우 중요하겠습니다.


 저는 약을 처방받은 있는 성인 ADHD 환자입니다.

 

 ADHD 관련된 정보와 제 삶을 포스팅하고 있으니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시면 편하게 질문이나 댓글 주세요.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반응형